EDITORIAL

히든필드, 더이상 몰라서 숨지 않는 법

Yuvin Kim

March 8, 2023

EDITORIAL

히든필드, 더이상 몰라서 숨지 않는 법

Yuvin Kim

March 8, 2023

히든필드란?

혹시 히든필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말 그대로 ‘hidden(숨겨진)’ 필드입니다. 히든필드를 통해서 응답자가 응답하지 않아도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응답자는 굳이 응답 하나를 더 하지 않을 수 있죠.

히든필드를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이미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응답자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고, 왈라폼을 인하우스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는 기능입니다. 만약 응답자의 유입 경로를 트래킹하고 싶다면, 왈라폼에서 UTM 매개변수를 히든필드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히든필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거지?

히든필드는 정말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응답자의 소스를 추적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을 할 때, UTM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번에 웨비나를 열기 위해 왈라폼을 만들고, 이 폼을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 광고 두가지 채널을 통해 배포하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당신은 이 폼이 어디에서 유입되었는지 알고 싶을 겁니다. 이때 유저에게 물어보지 않고도 어떤 채널을 통해 들어온 응답자였는지 히든필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1. 폼을 다 만든 뒤 왈라에서 [프로젝트 편집] 부분에 있는 우측 탭을 클릭하여 [히든필드]에 “source”를 입력합니다. 사실 이 히든필드에는 어떤 단어를 적어도 괜찮습니다. 여러분이 구분하기 쉬운 태그를 붙인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이 히든필드의 단어는 당신의 원본 왈라 url 뒤에 “?”(물음표)와 함께 적힐 것입니다.

예를 들어,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으로부터 들어온 응답을 구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적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에 (미묘하게 다른) 두가지 링크를 넣습니다.

  2. 응답이 모이고 나서 왈라의 [결과보기] 페이지에서 [응답] 탭을 눌러 응답을 확인합니다. 응답 가장 우측에 [source]라고 표시된, mailing과 instagram으로 분류된 열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두개 이상의 태그 (히든필드)를 붙이고 싶으면 어쩌죠?” 좋은 질문입니다. 아까 히든필드의 단어가 원본 왈라 url 뒤에 물음표와 함께 적힌다는 문장 기억나시나요? 한번 물음표로 나뉜 뒤에는 “&(and 기호)”를 통해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1) 고객 ID 값과 2) 유입 채널 이 두가지를 한번에 수집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할 수 있습니다.

https://walla.my/survey/[프로젝트키값]?uid=unknown&source=instagram

공식처럼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왈라 url 원본 링크]?[첫번째 히든필드]=[첫번째 히든필드 결과값]&[두번째 히든필드]=[두번째 히든필드 결과값]&[세번째 히든필드]=[세번째 히든필드 결과값]


조금 더 응용해서 각각의 유저에게 보내는 링크를 다 다르게, 정교한 히든필드를 담아 보내면, 특정 유저의 응답에 대해 밀도있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여러분도 히든필드, 두렵지 않죠?


  • Edited by 김유빈

  • 해당 콘텐츠는 2023.03.08.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히든필드란?

혹시 히든필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말 그대로 ‘hidden(숨겨진)’ 필드입니다. 히든필드를 통해서 응답자가 응답하지 않아도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응답자는 굳이 응답 하나를 더 하지 않을 수 있죠.

히든필드를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이미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응답자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고, 왈라폼을 인하우스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는 기능입니다. 만약 응답자의 유입 경로를 트래킹하고 싶다면, 왈라폼에서 UTM 매개변수를 히든필드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히든필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거지?

히든필드는 정말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응답자의 소스를 추적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을 할 때, UTM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번에 웨비나를 열기 위해 왈라폼을 만들고, 이 폼을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 광고 두가지 채널을 통해 배포하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당신은 이 폼이 어디에서 유입되었는지 알고 싶을 겁니다. 이때 유저에게 물어보지 않고도 어떤 채널을 통해 들어온 응답자였는지 히든필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1. 폼을 다 만든 뒤 왈라에서 [프로젝트 편집] 부분에 있는 우측 탭을 클릭하여 [히든필드]에 “source”를 입력합니다. 사실 이 히든필드에는 어떤 단어를 적어도 괜찮습니다. 여러분이 구분하기 쉬운 태그를 붙인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이 히든필드의 단어는 당신의 원본 왈라 url 뒤에 “?”(물음표)와 함께 적힐 것입니다.

예를 들어,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으로부터 들어온 응답을 구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적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에 (미묘하게 다른) 두가지 링크를 넣습니다.

  2. 응답이 모이고 나서 왈라의 [결과보기] 페이지에서 [응답] 탭을 눌러 응답을 확인합니다. 응답 가장 우측에 [source]라고 표시된, mailing과 instagram으로 분류된 열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두개 이상의 태그 (히든필드)를 붙이고 싶으면 어쩌죠?” 좋은 질문입니다. 아까 히든필드의 단어가 원본 왈라 url 뒤에 물음표와 함께 적힌다는 문장 기억나시나요? 한번 물음표로 나뉜 뒤에는 “&(and 기호)”를 통해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1) 고객 ID 값과 2) 유입 채널 이 두가지를 한번에 수집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할 수 있습니다.

https://walla.my/survey/[프로젝트키값]?uid=unknown&source=instagram

공식처럼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왈라 url 원본 링크]?[첫번째 히든필드]=[첫번째 히든필드 결과값]&[두번째 히든필드]=[두번째 히든필드 결과값]&[세번째 히든필드]=[세번째 히든필드 결과값]


조금 더 응용해서 각각의 유저에게 보내는 링크를 다 다르게, 정교한 히든필드를 담아 보내면, 특정 유저의 응답에 대해 밀도있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여러분도 히든필드, 두렵지 않죠?


  • Edited by 김유빈

  • 해당 콘텐츠는 2023.03.08.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히든필드란?

혹시 히든필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말 그대로 ‘hidden(숨겨진)’ 필드입니다. 히든필드를 통해서 응답자가 응답하지 않아도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응답자는 굳이 응답 하나를 더 하지 않을 수 있죠.

히든필드를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이미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응답자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고, 왈라폼을 인하우스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는 기능입니다. 만약 응답자의 유입 경로를 트래킹하고 싶다면, 왈라폼에서 UTM 매개변수를 히든필드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히든필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거지?

히든필드는 정말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응답자의 소스를 추적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을 할 때, UTM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번에 웨비나를 열기 위해 왈라폼을 만들고, 이 폼을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 광고 두가지 채널을 통해 배포하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당신은 이 폼이 어디에서 유입되었는지 알고 싶을 겁니다. 이때 유저에게 물어보지 않고도 어떤 채널을 통해 들어온 응답자였는지 히든필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1. 폼을 다 만든 뒤 왈라에서 [프로젝트 편집] 부분에 있는 우측 탭을 클릭하여 [히든필드]에 “source”를 입력합니다. 사실 이 히든필드에는 어떤 단어를 적어도 괜찮습니다. 여러분이 구분하기 쉬운 태그를 붙인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이 히든필드의 단어는 당신의 원본 왈라 url 뒤에 “?”(물음표)와 함께 적힐 것입니다.

예를 들어,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으로부터 들어온 응답을 구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적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메일링 서비스와 인스타그램에 (미묘하게 다른) 두가지 링크를 넣습니다.

  2. 응답이 모이고 나서 왈라의 [결과보기] 페이지에서 [응답] 탭을 눌러 응답을 확인합니다. 응답 가장 우측에 [source]라고 표시된, mailing과 instagram으로 분류된 열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두개 이상의 태그 (히든필드)를 붙이고 싶으면 어쩌죠?” 좋은 질문입니다. 아까 히든필드의 단어가 원본 왈라 url 뒤에 물음표와 함께 적힌다는 문장 기억나시나요? 한번 물음표로 나뉜 뒤에는 “&(and 기호)”를 통해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1) 고객 ID 값과 2) 유입 채널 이 두가지를 한번에 수집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할 수 있습니다.

https://walla.my/survey/[프로젝트키값]?uid=unknown&source=instagram

공식처럼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왈라 url 원본 링크]?[첫번째 히든필드]=[첫번째 히든필드 결과값]&[두번째 히든필드]=[두번째 히든필드 결과값]&[세번째 히든필드]=[세번째 히든필드 결과값]


조금 더 응용해서 각각의 유저에게 보내는 링크를 다 다르게, 정교한 히든필드를 담아 보내면, 특정 유저의 응답에 대해 밀도있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여러분도 히든필드, 두렵지 않죠?


  • Edited by 김유빈

  • 해당 콘텐츠는 2023.03.08.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Continue Reading

당신이 그토록 찾던 폼, 무료로 사용하세요.

바로 여기, 왈라에서.

당신이 그토록 찾던 폼, 무료로 사용하세요.

바로 여기, 왈라에서.

당신이 그토록 찾던 폼, 무료로 사용하세요.

바로 여기, 왈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