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2%의 부족함을 날려버린 왈라의 기능들
October 13, 2024
(앞서, 이전 편인 ‘구글폼으로 설문조사 만들면 아쉬운 이유?’를 읽고 오시면 빠른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국인이 이용할 때 가장 편한 폼 빌더 왈라가 되기 위해 매일 깊은 고민에 빠져있는 왈라팀입니다.
이전 편에서 구글폼의 아쉬운 디테일에 대해서 이야기 했는데요. 많은 유저가 이용하는 만큼 장점이 많지만, 깊게 파고들어 보면 결과적으로 “편리한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는 구글폼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아쉬운 점들을 보완해 줄 최고의 대안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사실 많은 분들이 예상하셨겠지만 저희가 꼽은 최고의 대안은 ‘왈라(Walla)’입니다!
물론 세상에 좋은 폼 빌더 제품이 많지만 한국인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로 가득하고 한국인이 사용하기 가장 편한 폼 빌더는 왈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마치 요리로 이야기하자면 아주 ‘이븐’ 하게 구워진 폼 빌더랄까요? (꼭 써보고 싶었어요…ㅎ)
그럼 왈라가 구글폼의 아쉬운 점을 120% 채워주는 방법, 알아볼까요?

브랜드의 개성을 설문지에 녹여보세요, 커스터마이징 디자인 제공
구글폼은 단순 글꼴과 색상만 변경할 수 있어 개성을 표현할 공간이 한정적이라는 말씀을 드렸었죠. 디자인은 표현을 하는 공간임과 동시에, 해당 설문을 받게 될 소비자가 브랜드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기도 해요. 그래서 왈라는 내 브랜드가 갖고 있는 컬러를 모두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섬세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요.
헤더 이미지만 변경 가능한 구글폼과 달리 폼의 전체 바탕색과 버튼 컬러까지 별도로 디자인 지정이 가능하도록 해 차별화된 폼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어요. 단순 색상 팔레트는 물론 ‘Hex’ 값과 ‘RGBA’ 값도 지원해, 더욱 정교한 컬러를 설정할 수 있게 했죠. 또 브랜드를 상징하는 브랜드 로고를 삽입할 수 있게 하여 구글로고를 삭제할 수 없어 불편했던 점을 보완했어요. 참고로 플랫폼 제공자인 왈라의 로고 역시 나만의 로고로 대체할 수 있으니 이 부분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왈라는 무심하게 넘어갈 수 있는 링크에도 커스텀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었어요. ‘링크 커스텀’ 기능을 지원해 별도의 세팅 없이 나만의 URL을 가질 수 있고, ‘링크 이미지’와 ‘링크 제목과 설명’까지 제작자가 커스텀할 수 있도록 했죠. 그래서 최종적으로 링크를 전달받게 될 소비자가 인지 단계부터 브랜드에 긍정적인 인상을 가져갈 수 있도록 기획했어요.

사용하던 앱에서 한 번에 관리하세요, 서드파티 앱과의 넓은 연동성
여러분은 업무 및 일상에 주로 어떤 툴(Tool)을 사용하시나요? 지난 편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구글 워크스페이스도 많이 사용하지만 ‘Notion’과 ‘Slack’ 같은 협업 툴의 사용자가 빠르게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다양한 툴을 동시에 이용하면서 가장 필요한 건 효율을 위한 연동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왈라는 다양한 서드파티 앱과의 연동성을 확장해 구글 워크스페이스만 연동 가능한 구글폼의 아쉬운 점을 메우기로 했어요.
‘웹훅(Webhook)’을 통한 확장 서비스 연동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여기서 웹훅이란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미리 설정해 둔 다른 시스템에 알림을 보내는 일종의 콜백 메커니즘을 일컫는데요. 응답이 제출될 때 자동 이메일 알림을 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범위가 가장 넓은 구글과도 안정적인 연동이 가능하게 구축하였습니다. 구글폼의 장점은 살려 응답이 제출되면 ‘Google Sheets’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데이터가 기록되게 해 별도의 정리 필요 없이 상호 간 공유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었고, ‘Google Calender’로 이벤트가 자동 등록되어 일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대중적인 커뮤니케이션 툴 ‘Slack’과 ‘Discord’와도 연동시켜 응답에 대한 실시간 알림을 받을 수 있어 기존 사용하던 앱에서 편하게 관리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Notion’과도 연동하여 제출된 응답을 데이터베이스로 추가해 기존에 사용하던 서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어쩌면 큰 기능은 아닐지라도, 연동성 확대가 업무 효율에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 왈라팀은 최대한 많은 서비스와의 연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서비스와의 연동을 기대해 주세요!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간편한 응답 분석
응답을 모두 받았다면 이젠 분석을 해야겠죠? 구글폼에서도 제공하는 문항별 결과와 문항별 비율을 볼 수 있는 막대형, 파이그래프. 왈라도 여기까지 만 제공한다면 큰 차별점이 없겠죠? 단순히 응답의 결과만 보는 것은 진짜 인사이트를 얻기 어려워요. 해당 설문이 응답자가 보기에 어려웠을 수도 있고, 특정 질문에서 얻을 수 있는 숨겨진 인사이트가 있을 수도 있거든요. 그럼 왈라의 분석은 어떻게 다를까요?
왈라는 단순히 답변 분류에 그치지 않고 질문과 그 안에 숨겨진 패턴 및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도록 ‘애널리틱스’ 기능을 만들었어요. 그래서 ‘필드별 조회수’를 통해 설문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고, ‘소요시간’을 통해 후킹 되는 포인트 질문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탈률’을 확인해 질문이 어려웠는지, 혹은 문제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다음 설문의 인사이트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객관식 질문 분석뿐만 아니라 ‘AI 주관식 응답 분석’을 통해 유사도를 기반으로 한 응답들을 산점도 그래프로 보여주는 ‘K-평균 군집화’, 분류 기준을 입력해 필드의 답변을 시각화 자료로 보여주는 ‘제로샷 분류’까지. 더욱 정교하고 사용자 사용 패턴 방식에 맞춘 분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같은 답변일지라도 분석하는 방식에 따라 많은 인사이트를 얻어낼 수 있고, 주관식 응답도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쉽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왈라에는 있답니다. 이 정도면 분석이 조금 더 쉬워졌다고 할 수 있겠죠?

만들기 쉬워야 보는 것도 쉬워지는 것 아닐까요?
모든 설문에는 로직(Logic)이 존재합니다.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다음 질문이나 섹션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인 만큼 질문이 많아지고, 조건이 추가되면 복잡해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그렇다고 조건부 질문의 방식이 단순하기만 해도,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단순한 게 좋다고 할 수는 없죠. 그래서 질문이 많아질 땐 제작자라 할지라도 질문과 경로를 모두 암기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왈라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었을까요?
답변에 따른 경로 설정 위주의 조건부 설정의 구글폼은 초대장 같은 설문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능적 한계로 ‘신제품 관심도 조사’와 같은 면밀한 데이터를 알기엔 부족하죠. 그래서 왈라는 로직 내 규칙에 ‘그리고’와 ‘또는’을 추가해, 보다 디테일 한 로직을 구성하고 통계 오류 없이 뾰족한 데이터를 알 수 있게 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로직의 과정을 머리가 아닌 눈으로 인지하면서 제작할 수 있도록 ‘비주얼 로직맵’을 제공해, 아무리 복잡한 과정도 테스트 없이 쉽게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에요. (자세한 내용은 Walla 헬프센터_로직 설정하기 참고!)
또한 최근에 소개해 드렸던 왈라의 신규 서비스 ‘템플릿’을 활용한다면 처음부터 설문을 제작하지 않아도 디자인부터 로직까지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으니 이를 활용한다면 조금 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겠죠?
이 정도면 왈라, 너무 편하겠죠?
이처럼 다양한 목적을 가진 설문을 제작하는 데 있어 필요한 기능들은 정말 많습니다. 많은 분들이 구글폼을 이용하면서 느낀 아쉬운 점을 왈라가 가득 채워가는 만큼, 그동안 아쉬운 경험이 있으시다면 이제부터는 왈라를 이용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쉬움 없는 왈라를 위해 항상 사용자 분들을 향해 귀를 열고 있으니 필요한 기능이 있다면 마음껏 의견을 보내주세요.
홈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