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다시 나온 네이버 폼 vs 더 나아간 왈라 폼
October 23, 2024
네이버 폼을 기억하시나요? 이전 글을 통해 네이버 폼의 종료 소식을 전해 드렸었는데요. 지난해 11월 30일부로 종료가 결정되었지만 약 1개월 뒤인 12월 20일, 네이버 오피스에서 분리된 베타 버전으로 재출시되었습니다. 네이버 계정만 있으면 사용 가능한 쉬운 접근성과 한국인에게 편리한 UI로 많은 사랑을 받은 만큼 단독 플랫폼으로 다시 등장하였습니다.

새 옷은 입은 네이버의 모습은 어떨까요?
출시 이후 달라지지 않는 UI로 편리함과 무관심이라는 인식을 동시에 가지고 왔던 네이버 폼은 새롭게 출시된 만큼 UI에 신경을 쓴 모습이 확실히 느껴졌는데요. 다채로운 디자인보다는 구글폼과 같은 범용적인 디자인으로 등장했습니다. 또한 오피스 폼에 가까웠던 기존의 템플릿들은 상담, 체험단 등 사용자의 이용 빈도에 맞춘 템플릿으로 변경되었는데요.
이 외에도 질문 유형 추가 및 모바일 최적화 등의 크고 작은 변화들이 있었지만, 이전보다 다소 불편해졌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럼 새로운 옷을 입고 등장한 네이버 폼의 변화와, 왈라로 해결할 수 있는 네이버 폼의 아쉬운 점들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1. 모바일 최적화 네이버 폼과 완성된 최적화 폼 왈라
기존 네이버 폼은 스마트폰 상용화 이전 출시되어 PC에 최적화된 폼 빌더로, 재출시 이전까지 모바일 환경에서도 PC 버전이 노출되어 응답자에게 가독성이 떨어지는 아쉬운 점이 존재했습니다. 이후 변화된 환경에 맞춰 재출시된 버전은 모바일 최적화를 통해 응답자의 기기에 맞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환경이 자리잡은 기간이 짧지 않은 만큼 모바일 전용 기능 제공이 아닌 단순 최적화는 파격적인 변화라고 하기에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반면 왈라는 처음부터 응답자 기기에 맞춘 환경 제공으로 PC와 모바일 어디서든 최적화된 경험 가능하도록 출시되었습니다. 우선 별도의 설정 없이 한 번의 제작으로 기기별 알맞은 노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요. PC에서는 기존처럼 스크롤 하며 볼 수 있는 리스트뷰, 모바일은 한 페이지에 하나의 문항이 띄워져 대화형으로 전개되는 스텝뷰 방식을 노출하는 등 다양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직관적인 디자인의 네이버 폼과 개성이 담긴 디자인의 왈라
네이버 폼은 이전부터 디자인 설정이 제한되는 구글폼의 대안으로서 많은 사용자들의 아쉬움을 달래 주었는데요. 글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 한글 폰트 활용과 서식을 변경할 수 있고 배경 이미지 설정 및 컬러 변경이 가능해 사용자마다 나름대로 차별화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재출시된 지금도 크게 변화되지 않았고, 개별 설정이 불가능한 점과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이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그 이상을 원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왈라는 그런 아쉬운 점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도록 사용자마다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디자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선 정해진 팔레트가 아닌 ‘Hex’ 값과 ‘RGBA’ 값을 설정해 정교한 컬러 설정으로 개별 텍스트와 바탕색, 그리고 버튼 색까지 변경이 가능합니다. 전체 변경만 가능한 네이버 폼과 달리 섬세한 설정이 가능해지는 거죠. 여기에 브랜드 로고 삽입까지 지원해 네이버 폼 로고 대신 내 브랜드의 로고를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링크 전달 시에도 ‘링크 커스텀’ 기능을 이용해 사용하고 싶은 URL 지정과 링크 이미지 및 설명을 설정하는 등 사소할 수 있는 부분까지 커스텀이 가능해 다른 설문과의 차별성과 전문성을 더할 수 있습니다.

3. 트렌드를 따라가는 네이버 폼과 트렌드를 앞서가는 왈라의 질문 필드
앞서 언급했듯 네이버 폼도 재출시되며 최근 폼 빌더 사용자의 사용 형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설문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리뷰에 많이 사용되는 ‘별점형’과 ‘참여자 정보’, 그리고 ‘개인정보 수집/제공 동의’ 항목이 추가되었는데요. 설문과 동시에 정보제공에 동의할 수 있어 편리하고, 별점형의 경우 결과 확인 시 직관적으로 볼 수 있어 매우 좋은 업데이트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네이버 폼의 설문 항목은 간단한 설문을 제작하기에는 충분하지만 섬세하고 더욱 정확한 정보 수집을 위해선 다소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럼 목적별, 상황별로 디테일 하게 제공되는 25가지의 필드를 보유한 왈라는 어떨까요? 위에서 말한 개인정보 필드는 물론 웹사이트, 사진 및 영상 촬영, 주소, 위치 기록 등 다양한 정보를 간편하게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 항목에서도 선형배율, 다중필드 등 면밀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최근에는 ‘토스 페이먼츠’를 활용한 결제 필드 기능을 추가해 폼에서 결제까지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결제 필드를 만든 판매자는 별도의 확인 필요 없이 자동으로 판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구매자는 간편결제를 통해 쉽고 빠른 결제를 할 수 있어 양쪽 모두 긍정적인 경험이 가능해지는 거죠.

4. 분석은 내 몫인 네이버 폼과 분석까지 친절한 왈라
설문 배포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결과를 확인할 시간입니다. 하지만 네이버는 ‘네이버 오피스’ 종료 후 단독 재출시 되었기 때문에 네이버 셀과 같은 연동 앱을 통한 자료 분석이 어려워졌습니다. 이전에는 자세한 분석 결과를 알 수는 없었어도 종류별 그래프를 통해 간단한 응답 결과 정도는 알 수 있었는데, 재출시 후에는 오히려 제공되는 시각 자료가 줄어들어 당황하신 분들이 적지 않았을 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이전과 달리 참여자별 결과와 일자별 참여 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지만, 시각 자료는 원형 그래프와 막대그래프(최근 업데이트)만 제공하고 있어 분석이라고 하기에는 아쉬움이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왈라는 어떨까요? 막대형, 파이 그래프와 같은 시각화 자료 제공은 물론, 사용자가 수집된 데이터를 별도의 가공 없이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애널리틱스 기능을 제공합니다. 우선 필드별 이탈수와 소요시간 등을 통해 질문의 효율과 질을 파악하고 이후 설문에 참고할 수 있는 인사이트 획득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유입 경로를 파악해 노출 지면의 효율도 확인이 가능하죠.

또한 AI 주관식 응답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유사도에 따른 산점도 그래프로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혹은 수집 이후에 직접 분류 기준을 추가해 필드의 답변을 시각화 자료로 보여주는 제로샷 분류까지 만들어볼 수 있죠. 이처럼 사용자의 목적에 따른 다양한 맞춤 분석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폼과 왈라 중 여러분의 선택은?
한국 사용자를 위해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하여 오랫동안 많은 사용자가 이용해 온 네이버 폼. 접근성이 좋고 이용 난이도가 쉽다는 점에서 이해도가 높지 않은 사용자들도 사용하기 좋은 폼 빌더입니다. 하지만 재출시에도 불구하고 기능적인 변화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간단한 설문을 만드는 것이 아닌, 설문에 정체성을 담아 차별화된 폼을 만들고자 하는 분들 또는 업무 효율 개선을 위해 강력한 결과 분석을 원하시는 분들은 기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폼 빌더를 찾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나에게 맞는 폼 빌더를 찾는 여정이 길어질 필요가 있을까요? 여러분에게 딱 맞는 폼 빌더 왈라를 이용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홈으로 돌아가기